KANGWON NATIONAL UNIVERSITY
진취적이고 창의적인 글로벌 기술인력을 양성하는강원대학교 컴퓨터공학과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동정] 이다영 교수, IEEE Transactions on Circuits and Systems For Video Technology (TCSVT) 논문 게재
강원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이다영 교수가 1저자로 참여한 논문이 2025년 7월 IEEE Transactions on Circuits and Systems for Video Technology (TCSVT)에 게재되었다. 해당 저널은 상위 5% 이내의 저명 저널로, 멀티미디어 및 비디오 처리 분야에서 권위 있는 학술지이다. 이 논문은 DRL을 활용해 HDFS와 같은 대규모 분산 파일 시스템 환경에서 발생하는 네트워크 불안정성과 스토리지 장애로 인한 데이터 접근 실패 문제를 해결하고, 사용자 맞춤형 비디오 품질을 유지하면서도 스토리지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복제 정책을 제안해 분산 스토리지 시스템에서 영상 품질과 저장 공간의 trade-off를 최적화했다. 본 연구는 실사용 가능한 높은 품질을 달성해 실용적 가치를 입증했다. 이다영 교수는 앞으로 더 많은 연구 성과를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5-07-07
[수상] 컴퓨터비전/의료영상처리 연구실(지도교수 김윤) 이강희, 이두희 박사과정생;「ICCV 2025 : AI City Challenge 」1위 수상
우리 학과 소속 대학원생(이강희 박사과정·이두희 박사과정)과 졸업생(김희철 동문, 이재원 동문)으로 구성된 ‘ZV’팀(컴퓨터비전/의료영상처리 연구실, 지도교수 김윤)이 컴퓨터 과학 분야 최대 학술대회인 ‘국제 컴퓨터 비전학회(ICCV,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2025’에서 개최되는 ‘AI City Challenge 2025’의 Track 1 (Multi-Camera 3D Perception) 부문에서 1위를 수상하였다. AI City Challenge 챌린지는 2018년을 시작으로 올해 9회차로 개최되며, 컴퓨터 비전 및 인공지능 기술의 실제 환경 적용의 한계를 확장한다는 목적성을 갖고 있다. 이번 제9회 챌린지 Track 1인 ‘Multi-Camera 3D Perception’ 부문은 다수의 카메라 영상을 통해 사람, 자율 이동 로봇, 휴머노이드, 지게차 등 다양한 객체를 3D 공간에서 인식, 추적하는 고난이도 과제로, 디지털 트윈 기반의 NVIDIA Omniverse를 통해 구축된 대규모 합성 데이터셋을 통해 여러 제약 조건하에서 성능을 평가 받았다. 컴퓨터비전/의료영상처리 연구실측은 "다중 카메라 기반의 3D 객체 인식 및 추적 기술은 향후 로봇, 인간, 장비 간의 상호작용을 실시간으로 정밀하게 분석하고 예측함으로써 제조, 물류, 교통, 스마트시티, 의료 및 보안 등 다양한 분야의 지능화된 자동화 생태계를 구축하는 차세대 산업혁명의 기반 기술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후속 연구에 정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ICCV는 컴퓨터비전 및 패턴인식학회(CVPR), 유럽컴퓨터비전학회(ECCV)와 함께 컴퓨터 비전 분야를 대표하는 3대 국제학술대회 중 하나로 AI 분야의 권위 있는 학회로 꼽히며, 올해는 10월 19일부터 23일까지 미국 하와이에서 개최된다.
2025-07-03
[수상] KCC 2025 딥페이크 경진대회 최우수상 수상
IT대학 컴퓨터공학과 학부생 김형준, 김이든과 융합보안학과 대학원 석사과정 류나연으로 구성된 Cliper 팀(지도교수: 이다영, 이세영)이 2025년 7월 2일 진행된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KCC2025)의 딥페이크 경진대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 본 대회는 성균관대학교와 한국정보과학회가 공동으로 주관하였다. 팀 대표 김형준 학생은 “이번 경진대회를 준비하면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고, 팀원들과 함께 노력해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어 기쁘다”라고 수상 소감을 전했다. 한국정보과학회가 주최하는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KCC)는 국내 최대 규모의 컴퓨터·정보과학 분야 학술대회로, 매년 2천여 명이 참가해 연구 성과를 발표하는 자리이다. 강원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원생과 학부생들도 꾸준히 이 학회에서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있어,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 성과 발표와 수상이 기대된다.
[동정] 허룡 박사과정생 (지도교수 박치현) Computers in Biology and Medicine 저널 논문 발표
강원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의생명데이터과학 연구실』의 허룡 박사과정생 (지도교수 박치현)은 국제 저널 Computers in Biology and Medicine에 "KNU-DTI: KNowledge United Drug-Target Interaction prediction" 제목의 논문을 게재하였다. Computers in Biology and Medicine는 SCI(E) 저널로서 다양한 생물학과 약리학적 연구 주제를 아우르는 컴퓨팅 기술을 다루는 주요 저널 중 하나이다. (JCR impact factor 기준으로 관련 분야에서 상위 2.3%내로 랭크되어 있다.) 본 연구는 약물-표적 단백질 상호작용(DTI)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 복잡한 알고리즘보다 효과적인 서열 기반의 정보에 대한 표현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이를 위해 제안된 KNU-DTI 모델은 단백질과 화합물로부터 총 5개의 잠재 벡터를 다양한 신경망(MLP, Gated-CNN, Directed-Message Passing Neural Network, Transformer 등)을 통해 추출하고, 이들을 통합하여 예측에 활용합니다. 단백질은 Gated-CNN을 거친 Structural Property Sequence(SPS) 서열과 그래프 구조 데이터 학습 모듈인 D-MPNN을 통해서, 화합물은 Extended-Connectivity FingerPrints(ECFP)를 MLP에 입력하여 구조 정보를 학습 및 반영하며 Transformer 기반의 학습 모듈로 단백질과 화합물 서열의 문맥 정보를 추가로 학습합니다. 얻어진 다섯 가지의 잠재 벡터들은 잠재 벡터 간 직교성(Orthogonality)을 고려해 직관적인 단순 벡터 덧셈을 통해 손실 없이 모든 정보를 결합합니다. BindingDB, Davis, Protein Data Bank(PDB), DUD-E 등 여러 데이터 세트를 활용한 실험에서 KNU-DTI는 기존 최신 모델들보다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으며, 특히 일반화 성능 부분에서 외부 도메인 및 단백질 클래스별 테스트 수행 결과 높은 일반화 성능을 확인하였고, 일부 사례에서는 기존 도킹 시뮬레이션보다 더 나은 결과를 보이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KNU-DTI가 실제 신약개발에 적용 가능한 실용적인 예측 플랫폼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논문링크 : https://doi.org/10.1016/j.compbiomed.2025.109927
2025-05-15
[동정] 최우혁 교수, ACM CHI 2025 국제 학술 대회 논문 발표
WellbeingWallet 모바일 앱 강원대학교 컴퓨터공학과 P4C 연구실을 지도하고 있는 최우혁 교수는 국제 학술 대회 ACM CHI에 “Like Adding a Small Weight to a Scale About to Tip: Personalizing Micro-Financial Incentives for Digital Wellbeing” 라는 논문을 게재하였다. ACM CHI는 인간컴퓨터상호작용 분야의 국제학술대회로, 구글 스칼라 기준 해당 분야 학술지 및 학술 대회를 통틀어 영향력이 1위인 학술대회 이다. 최우혁 교수는 KAIST 인터랙티브컴퓨팅연구실 (지도교수 이의진)과 협업하여, 스마트폰 과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수반성 관리 모바일 앱, WellbeingWallet, 을 개발하였다. 수반성 관리란 긍정적인 행동 변화를 촉진하기 위해 보상을 지급하는 행동 치료 방법으로, 기존의 수반성 관리 기법에서는 보상의 양이 치료 제공자에 의해 일괄적으로 정해지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다중 목적 멀티 암드 밴딧 (Multi-Objective Multi-Armed Bandit)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행동 변화의 확률을 최대화하면서도 제공하는 보상의 양은 최소화하는 새로운 보상 제공 방법을 개발하였다. 72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한 4주간의 현장 연구를 통해, 제안하는 보상 제공 방법이 기존 방법보다 비용 효율적으로 보상의 양을 제공하면서도 긍정적인 행동 변화를 유도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기존의 수반성 관리를 비용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건강 행동 변화를 위한 넓은 범위의 건강 개입에서 개인 맞춤형의 행동 치료 요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논문 링크: https://dl.acm.org/doi/10.1145/3706598.3714208
2025-05-14
[동정] 이재권 교수, ACM Transactions on Software Engineering and Methodology 저널 논문 게재
강원대학교 컴퓨터공학과는 이번 2025년 1월 소프트웨어공학 분야의 국제학술지 ACM Transactions on Software Engineering and Methodology에 논문을 게재하였다. 해당 저널은 JCR impact factor 6.6, 소프트웨어공학 분야에서 상위 2위 랭크되어 있다. 특히, 강원대 컴퓨터공학과 이재권 교수가 공동연구로 참여하였으며, 본 연구는 Github 기반으로 메소드 이름을 변경한 코드리뷰에 대한 데이터들을 수집하여 메소드 이름을 자동으로 추천해주는 시스템들에 대한 벤치마크를 제안하였다. 이로 인해 기존의 벤치마크들의 데이터에 편향이 있었음을 밝혔고, 이를 기반으로 정확도가 높은 접근법들을 개발하는데 유용한 벤치마크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논문 제목은 "How are We Detecting Inconsistent Method Names? An Empirical Study from Code Review Perspective"이며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논문링크: https://dl.acm.org/doi/10.1145/3711901
2025-05-12
[동정] 이준석 석사과정생 (지도교수 김도형) IEEE Transactions on Network Science and Engineering 저널 논문 발표
강원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지능형컴퓨터네트워크 연구실』의 이준석 석사과정생 (지도교수 김도형)은 국제학술지 IEEE Transactions on Network Science and Engineering에 "Heartbeat: Effective Access to Off-Path Cached Content in NDN"제목의 논문을 게재하였다. IEEE Transactions on Network Science and Engineering은 SCI(E) 저널로서 network system 분야에서의 이론, 모델링, 응용을 다루는 주요저널 중 하나이다. (JCR impact factor 기준으로 관련분야에서 상위 4.2%내로 랭크되어 있다.) 정보 중심 네트워킹(ICN)에서는 콘텐츠가 네트워크 캐시에 저장되어 이후 요청 시 해당 노드에서 직접 서비스될 수 있으며, 이는 지연 시간 단축과 네트워크 자원 효율성 측면에서 큰 이점을 제공한다. 하지만 이러한 이점은 요청 메시지가 얼마나 효율적으로 캐시 노드에 도달하느냐에 크게 좌우된다. 기존 접근 방식으로는 요청 메시지를 복제하여 네트워크 전반으로 확산시키거나, 캐시 정보를 주기적으로 교환하여 요청 경로를 안내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지만, 전자는 중복 전송에 따른 대역폭 낭비 문제를, 후자는 교환 주기에 따른 정보 불일치와 높은 오버헤드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Heartbeat 기법은 주변 노드 간 캐시된 콘텐츠 정보를 (카탈로그 형태로 주기적으로 교환하는 대신) 콘텐츠가 캐시에 삽입되거나 재배치될 때마다 (콘텐츠별로) 교환하는 방식을 채택한다. 특히 콘텐츠별 예상 수명을 함께 전달함으로써, 유효기간이 지난 정보로 인해 발생하는 접근 실패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하였다. 또한 오버헤드 최소화를 위해 정보 전달 범위 제한, 콘텐츠 우선순위 기반 전달 등 다양한 최적화 전략을 함께 도입하였다. ndnSIM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 Heartbeat는 기존 방식에 비해 캐시 히트율을 45% 향상시키고, 평균 서비스 지연 시간과 대역폭 소비를 각각 최대 11%, 47%까지 감소시키는 성능 향상을 보였다. 논문링크: https://ieeexplore.ieee.org/document/10944575
2025-05-02
[동정] 강경필 교수 연구팀, ‘개인기초사업 우수신진연구’ 과제 선정
우리학과 소속 강경필 교수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주관하는 '2025년도 1차 개인기초연구사업' 중 '우수신진연구' 부문 연구과제에 선정되었다. 강경필 교수가 제안한 연구는 '거대 언어 모델(LLM)을 활용한 고문서의 복원과 번역'이라는 주제로,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와 같은 고문서에 대해서 거대 언어 모델을 활용하여 훼손된 부분에 대한 복원의 정확성을 높이고, 한자로 작성된 고문서를 영어로 번역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고문서의 현대화와 세계화를 촉진하고, 고문서 번역에 들어가는 막대한 시간과 예산을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수신진연구'는 총 433개의 과제가 선정 되었으며, 강경필 교수는 해당 과제를 통해 앞으로 3년간 총 6억여 원(간접비 제외)을 지원받아 연구를 수행한다.
2025-04-25
[동정] 임현승 교수 연구팀, 소프트웨어공학 분야 우수국제학술대회인 ICST 2025에서 정규 논문 발표
컴퓨터공학과 『프로그래밍 언어 및 기계학습 연구실(지도교수 임현승)』에서 수행한 연구의 결과가 소프트웨어 공학 분야의 우수국제학술대회인 ICST 2025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ftware Testing, Verification and Validation)에 채택되어 발표되었습니다. 논문 제목: Impact of Large Language Models of Code on Fault Localization 저자: Suhwan Ji, Sanghwa Lee, Changsup Lee, Yo-Sub Han, Hyeonseung Im 학술대회: ICST 2025, 2025년 3월 31일 ~ 4월 4일 본 논문은 임현승 교수가 연대-성대-서울시립대와 공동으로 수행 중인 기초연구실 후속연구과제인 휴먼-AI 협업 프로그래밍 플랫폼 기술 연구실의 연구 수행 결과이며, 코드 전용 대형 언어 모델(Code LLM)이 소프트웨어 오류 위치 추적(Fault Localization)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로, 다양한 모델 비교 및 정량적 실험을 통해 LLM이 오류 진단 정확도에 미치는 실질적인 효과를 검증하였습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오류 자동 수정, 코드 리뷰 자동화 등 향후 AI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의 정밀도와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LLM의 실제 소프트웨어 공학 적용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프로그래밍 언어 및 기계학습 연구실은 앞으로도 AI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 기술의 고도화를 위한 연구를 지속해 나갈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립니다! <지수환 박사 ICST 2025 논문 발표 모습>
2025-04-24
[동정] 이두희 박사과정생 (지도교수 김윤) Applied Sciences 저널 논문 발표
강원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컴퓨터비전/의료영상처리 연구실』의 이두희 박사과정생 (지도교수 김윤)은 국제학술지 Applied Sciences의 Applied Biosciences and Bioengineering 저널에 "A Refined Approach to Segmenting and Quantifying Inter-Fracture Spaces in Facial Bone CT Imaging" 제목의 논문을 게재하였다.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Biomedical Image Processing" 특별호에 게재된 본 연구는 골절로 기인하여 발생한 안면골의 빈 공간을 분할(segmentation) 기법을 적용하는 주제로, 골절의 정도를 부피로 정량화(quantification)할 수 있는 딥러닝 기반 모델을 개발하고 평가하는 특징을 갖는다. 특히 학습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고 휴먼 에러를 보정하기 위해 단계별 정제 과정을 수행하였는데, 정제 과정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영상유전체학(radiomics)을 활용한 평가 지표를 통해 보다 정확한 분할 성능이 도출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중기부 글로벌혁신특구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으며, CE와 FDA 의료기기 획득을 목표로 연구개발과 사업화를 동시에 수행하고 있다. 논문링크: https://www.mdpi.com/2076-3417/15/3/1539
2025-02-05
2025-2학기 구글캠퍼스 교과목 신청 안내(~8월 6일 까지 구글폼 신청)
우리 대학 데이터보안·활용 혁신융합대학 사업단에서 2025-2학기 구글 클라우드 코리아와 함께 하는 교과목을 운영합니다. 다음 안내 사항을 꼼꼼하게 확인하시고 많은 신청 바랍니다. ▩수업 주제: Google Cloud Vertex AI 및 AutoML 모델의 Firebase 통합 서비스 개발 ▩신청 대상: 컴퓨터공학과, AI융합학과, COSS 사업단 운영 학과생* 3~4학년 *사이버보안융합학과, 클라우드융합학과, 블록체인융합학과 ▩신청 기간: ~2025년 8월 6일(수) 18시까지 ▩신청 방법: 구글 폼에서 신청 양식 작성 후 제출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dYUWseydI2daPYQltSlq-ZDW_nedYiDPkjsNE7JHtoV4wZgw/viewform?usp=dialog) ▩선발 안내: 2025년 8월 8일(금) ▩유의 사항 - 선발 후 수강 취소 불가 - 카카오프로젝트와 중복 참여 불가 - 선발된 인원은 직전 학기(2025-1학기) 성적 증명서 제출 필수 학과 교과목명 수강 인원 요일 / 시간 컴퓨터공학과 컴퓨터공학특론 20명 금요일 10:00 ~ 13:00 AI융합학과 인공지능특론2 20명 금요일 14:00 ~ 17:00 COSS 가상학과 캡스톤디자인 50명 (25명) 금요일 10:00 ~ 13:00 (25명) 금요일 14:00 ~ 17:00 ▩커리큘럼 안내 Google Cloud Vertex AI 및 AutoML 모델의 Firebase 통합 서비스 개발 개요: Google Cloud의 Vertex AI (AutoML, Gemini 등)와 Firebase를 통합하여 실제 AI 기반 서비스를 개발하는 경험을 쌓는 데 중점을 둡니다. Genkit, Firebase Studio 등 최신 도구를 활용합니다. 학습 목표 - Vertex AI 플랫폼(AutoML, Model Garden, Gemini 등) 이해 및 활용 능력 배양 - AutoML을 활용한 맞춤형 ML 모델(표, 이미지, 텍스트) 개발 능력 습득 - Gemini 등 최신 멀티모달 생성형 AI 모델 개념 이해 및 API 활용 능력 배양 - Firebase 주요 기능(Authentication, Firestore, Cloud Functions, Hosting) 이해 및 활용 - Firebase Studio 및 Genkit을 활용한 AI 기능 통합 및 개발 능력 습득 - AI 모델 기반 서비스 기획, 프로토타이핑, 개발, 테스트, 배포 전 과정 경험 - 팀 프로젝트를 통한 협업 및 문제 해결 능력 강화 선수 지식 - Python 프로그래밍 중급 수준 - 웹 개발 기초(HTML, CSS, JavaScript) 및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 경험 권장 - REST API 개념 이해, Git 사용 경험 커리큘럼 상세 구성(15주, 주당 3시간) 주차 시간 주요 학습 내용 주요 GCP 서비스/도구 학습 목표 1 3시간 AI 서비스 개발 개요 및 Firebase 기초 Firebase Console, Authentication, Firestore AI 서비스 개발 동향. Firebase 플랫폼/핵심 기능 이해. 개발 환경 설정. 2 3시간 Firebase 심화: Cloud Functions 및 Hosting Cloud Functions for Firebase, Firebase Hosting Firebase용 Cloud Functions 서버리스 백엔드 구현. Firebase Hosting 웹 앱 배포. 3 3시간 Vertex AI 플랫폼 소개 Vertex AI, Model Garden Vertex AI 구성 요소/MLOps 기능 이해. Model Garden 사전 학습 모델 탐색. 4 3시간 Vertex AI AutoML (1): Tabular Data Vertex AI AutoML Tabular AutoML Tabular 개념/워크플로우 이해. 구조화 데이터 분류/회귀 모델 학습. 5 3시간 Vertex AI AutoML (2): Image and Text Data Vertex AI AutoML Vision, Vertex AI AutoML Text AutoML Vision 이미지 분류/객체 탐지. AutoML Text 텍스트 분류/감성 분석 모델 학습. 6 3시간 Gemini API 소개 및 기본 활용 Gemini API, Vertex AI Studio Gemini 멀티모달 기능/특징 이해. Vertex AI Studio 테스트. Python SDK API 호출. 7 3시간 Genkit 소개 및 설정 Genkit, Node.js, npm Genkit 프레임워크 역할/장점. 개발 환경 설정/설치. Gemini API 키 설정. 8 3시간 Genkit을 이용한 AI Flow 개발 Genkit (Flows, Models, Prompts) Genkit Flow AI 워크플로우 정의. 모델 연동(Gemini 등). 프롬프트 관리. 9 3시간 Firebase Studio 소개 및 활용 Firebase Studio, Gemini in Firebase Firebase Studio AI 앱 프로토타이핑. Gemini 코드 어시스턴트 활용. 10 3시간 프로젝트 기획: AI 기반 서비스 아이디어 구체화 - 팀 구성/아이디어 브레인스토밍. 서비스 목표/기능/타겟 정의. Vertex AI/Firebase 활용 방안 모색. 11 3시간 프로젝트 개발 (1): AI 모델 선택/학습 및 API 설계 Vertex AI (AutoML/Gemini), Genkit 적합 AI 모델 선택/학습. Genkit AI 로직 구현. Firebase 연동 API 설계. 12 3시간 프로젝트 개발 (2): Firebase 백엔드 및 프론트엔드 연동 Firebase (Firestore, Functions, Hosting), Genkit Firebase Firestore 데이터 모델링. Cloud Functions API 구현. 프론트엔드-AI 연동. 13 3시간 프로젝트 개발 (3): 기능 고도화 및 테스트 Vertex AI, Firebase, Genkit 피드백 반영/기능 개선. RAG 등 고급 AI 기능 고려. 단위/통합 테스트. 14 3시간 프로젝트 개발 (4): 최종 점검 및 배포 준비 Firebase Hosting, Google Cloud Run (선택) 최종 코드 검토/최적화. Firebase Hosting 배포. (선택) Cloud Run 컨테이너 배포. 15 3시간 프로젝트 최종 발표 및 평가 - 팀별 프로젝트 결과 발표/시연. 개발 과정, 결과물, 교훈 공유.
2025학년도 2학기 재학생 등록금 수납계획 안내
2025학년도 2학기 재학생 등록금 수납계획을 아래와 같이 알려드리오니, 해당 기간에 납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가. 수납일정 구분 등록금 납부기간 [고지서 출력기간] 정규납부 (연구원 과정생 포함) 2025. 8. 26.(화) ~ 8. 29.(금) [2025. 8. 21.(목) 09시 ~ 8. 29.(금) 16시] 분할납부 신청기간 2025. 8. 21.(목) 09시 ~ 8. 29.(금) 18시까지 납부 1차 2025. 8. 26.(화) ~ 8. 29.(금) 2차 2025. 9. 18.(목) ~ 9. 19.(금) 3차 2025. 10. 16.(목) ~ 10. 17.(금) 4차 2025. 11. 17.(월) ~ 11. 19.(수) 수업연한초과자/학사학위취득유예자/ 시간제등록생 2025. 9. 9.(화) 09시 ~ 9. 11.(목) 16시 ※ 등록금 추가납부 기간: 수업일수 1/3일 이내 별도 지정(붙임1. 3페이지 참조) 나. 수납방법 ○ (가상계좌) 고지서에 표시된 가상계좌로 납부(ATM, 인터넷뱅킹, 창구납부) ○ (신용카드) 신한카드, 농협카드(BC,NH채움), 국민카드 붙임 1. 2025학년도 2학기 재학생 등록금 수납계획(공지용) 1부. 2. 2025학년도 등록금 납입액표 1부. 3. 외국인 등록금 납부 안내사항 1부. 4. 헤이영 외국인 등록금 해외 납부방법 안내자료 1부. 끝.
2025년 2학기 교환학생 도우미(Buddy Program) 모집 안내
2025년 2학기 초청 교환학생의 체류 활동 지원을 위해 다음과 같이 교환학생 도우미(Buddy)를 선발합니다. 가. 운영목적: 초청 교환학생 학교생활 적응 지원 및 재학생의 글로벌 역량 강화 기회 제공 나. 운영방법 - 도우미 1명이 초청 교환학생 1~2명 담당 - 활동 일지 작성 및 면담을 통한 도우미 활동 관리 - 강원대학교 비교과 마일리지 취득(수료기준* 충족시 부여) * 30시간 이상 참여 다. 활동기간: 2025년 2학기(2025. 8월 ~ 12월) 라. 선발인원: 63명 ※ 초청 교환학생 수에 따라 변동 가능 마. 선발일정: 2025. 7.15(화) ~ 7.22(화) * 활동 연장신청서(선발 공고문의 [붙임1]) 이메일 접수 ※ 이메일: oiainfo@kangwon.ac.kr * 신규 신청자 온라인 신청서(링크) 제출 : https://naver.me/FBa0G8m3 ※ 기타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 참조 붙임 1. 2025년 2학기 교환학생 도우미(Buddy Program) 선발 계획 1부. 2. 신청 매뉴얼(신규 신청자) 1부.
강원SW중심대학 SW페스티벌 참가팀 모집
SW중심대학사업에 참여하는 강원권 대학의 성과 공유 및 확산과 SW•AI 교육 및 인재 양성을 위한 상호협력 방안 모색을 목표로 2025년 8월 27일(수요일)에 한림대학교 공학관 1층에서 강원SW중심대학 SW페스티벌을 개최하고, 다음과 같이 성과 발표회를 진행합니다. 참가대상 - 강원권 SW중심대학의 재학생으로 구성된 2인 이상의 팀 - 신청접수 이후 팀 구성원 변경 불가/ 졸업생 참여 불가 포스터, 구두 발표, SW 시연 3가지 트랙으로 3가지 트랙 모두 기본적으로 포스터 전시를 진행합니다. 포스터 전시는 각 대학별로 10개 팀을 모집하며, 이 중 구두 발표(10분 발표)는 3개 팀, SW시연은 1개 팀을 모집합니다. (구두 발표 및 SW 시연 신청 팀이 많은 경우 제출한 포스터 양식을 보고 평가를 진행하여 선정하게 되고, 나머지 팀은 포스터 전시를 진행하게 됩니다.) 발표자 전원에게 기념품이 지급되고, 심사를 통해 소정의 상금이 주어질 예정입니다. - 포스터(9개 팀): 200,000원 - 구두 발표(5개 팀): 300,000원 - SW 시연(1개 팀): 300,000원 첨부 양식 및 이미지를 제출하면 포스터는 업체에서 제작할 예정입니다. 성과 발표회에 참가하고자 하는 팀은 7월 22일(화요일) 18시까지 첨부 양식 및 다음 내용을 작성하여 강경필 교수(rudvlf0413@kangwon.ac.kr)에게 제출하여 신청하기 바랍니다. - 참가분야(포스터, 구두 발표, 작품 시연) - 팀명 - 주제 - 수상시 상금 수령인 이름 및 연락처 - 포스터 제작 소통담당 학생명 및 연락처 팀프로젝트, 캡스톤 및 연구 등을 통해 좋은 성과를 낸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 바랍니다. 또한 추가적으로 SW페스티벌에서 프롬프톤(Prompt Engineering + Hackathon)을 개최하니 많은 참여 바랍니다. 자세한 사항은 추후 공지할 예정입니다. - 강원 지역 사회를 위한 주제로 신청 마감 후 공지 예정 - 대학별 3팀 모집(총 10팀 내외)하며, 심사를 통해 3팀을 선정하여 100만원 상금 지급 - 1~4인으로 이루어진 팀 - API 비용(3만원 상당) 및 산업체 멘토링 자문료 지원 일정 - 참가팀 신청: 7.24(목) ~ 8.9(토) - OT 교육: 8.12(화) - 개발: 8.13(수) ~ 8.21(목) - 예선 심사: 8.22(금) - 결선 PT: 8.27(수)
2025년도『실험실 특화형 창업선도대학』사업 대학원생 창업동아리 모집 신청 안내
가. (사 업 명) 2025년 대학원생 창업동아리 나. (신청대상) - 창업에 관심이 있는 본교 대학원 재학생 - 창업아이디어를 보유하고 있는 본교 대학원 재학생 ※ 팀구성 인원은 2인 이상이며, 학부생도 참여 가능 다. (사업기간) 선발 후 ~ 2025. 11. 30. 라. (지원내용) - (창업 아이템 사업화 비용 지원) 각 팀별(최대 5,000천원) 지원 ※ 창업아이템 및 사업내용에 따라 차등(3,000천원〜5,000천원) 지원 ※ (사용가능 비목) 시제품 제작비, 재료비, 마케팅비용, 회의비 등 - (창업캠프 운영) 창업캠프 교육프로그램 통해 기업가정신 함양 및 아이디어 확정, 사업 구체화, 실효성 검증 등을 지원 - (창업경진대회 개최) 실험실 창업 경진대회 개최를 통해 창업아이디어 발굴 및 검증 지원 - (창업사업화 지원) 창업아이디어 구체화 및 사업화 검증으로 대학창업유망팀(U-300) 및 고려대학교 실험실창업혁신단(I-Coops)과 연계를 통해 고도화된 창업 아이디어를 구현하고 사업화 지원 및 육성 마. (신청기간) 2025. 7. 14.(월) ~ 2025. 7. 25.(금) 18:00 까지 바. (신청서 제출 및 문의) 1) 제출서류 - 신청서 및 개인정보동의서(붙임2) 1부(대표자 및 팀원) ※ 신청서 3장 내외 작성 및 서명 필수 - 재학증명서(대표자 및 팀원) 각 1부. - 창업동아리 소개자료(자유양식 PPT) 1부. 2) 제출처 및 문의처 -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담당자(Tel. 250-8921, E-mail. kiwi@kangwon.ac.kr) 붙임 1. 창업동아리 모집 공고문 1부. 2. 창업동아리 신청서 및 개인정보동의서 1부. 끝.
2025-1학기 논문 일러스트 특강 운영 및 신청 안내
- 프로그램 개요 구 분 내 용 운영대상 일반대학원생 60명(3개반 운영, 각 20명) 운영기간 2025. 8. 11.(월) ~ 8. 14.(목) 13:00 ~ 17:00 운영장소 강원대학교 문화예술대학 2호관 420호 운영내용 illustrator를 활용한 논문에 삽입할 그래프, 이미지와 그래픽초록 제작 실습 PowerPoint를 활용한 연구 발표 자료 템플릿 제작 운영방법 메디컬 일러스트레이터, 컴퓨터교육 전문 강사 등 교육 전문가를 초빙한 대면 교육 신청기간 2025. 7. 14.(월) ~ 7. 22.(화) (선착순으로 모집하여 마감) 신청방법 구글 설문조사를 통한 선착순 신청 (https://url.kr/nrjmtz) ※ 선발 이후 회신이 없거나 부재의 경우 차순위 선발 선발안내 2025. 7. 23.(수) ~ 7. 25.(금) 수료혜택 대학원생 비교과 마일리지 부여 ※ 상기 일정은 내부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세부사항: <붙임1> 문서 참조 붙임 1. 2025-1학기 논문 일러스트 특강 안내문 1부. 2. 2025-1학기 논문 일러스트 특강 카드뉴스 1부. 끝.
SNUAC 2025년도 석·박사학위논문상 신청 안내
1. 관련: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4713(2025.7.8.) 2.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신진학자양성사업인 <SNUAC 2025년도 석·박사학위논문상>에 우수한 연구자들이 신청할 수 있도록 안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지원 시 참고사항 항 목 내 용 지원 자격 - 국내연구기관에서 아시아 관련 지역과 통합 주제를 대상으로 작성한 석사학위 및 박사학위 논문 - 2024년 1월 이후 석사 혹은 박사학위 수여자(2025년 8월 학위수여 예정자 포함) 지원 내용 - 석사학위논문 및 박사학위논문을 각 2편씩 선정 - 우수논문상 1편당 석사학위논문 100만원, 박사학위논문 300만원 상금 수여 - 박사논문을 단행본으로 출판할 경우 출판지원 신청 및 심사 일정 - 신청 기간: 2025년 8월 1일(금) ~ 2025년 8월 18일(월) - 심사 기간: 2025년 8월 19일(화) ~ 2025년 10월 31일(금) - 선정 발표: 2025년 11월 예정 - 논문상 시상식: 2025년 12월 예정 붙임 1. 관련 공문 1부. 2. 2025년도 SNUAC 석사 및 박사학위논문상 신청요강 1부. 끝.
2025년도 2분기 대학원생 연구실적 조회 및 입력 요청
1. 연구진흥과에서는 대학원생 연구실적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하여 ‘연구실적 관리시스템’에 대학원생 연구실적을 입력·조회할 수 있도록 운영하고 있습니다. 2. 이에 2025년 2분기 대학원생 연구실적 입력을 요청하오니, 소속 대학원생들이 연구실적을 조회 및 입력할 수 있도록 다음사항을 안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가. 조회 및 입력대상: 일반대학원 재학생 및 휴학생(수료생 및 졸업생 제외) 나. 대상실적: 논문, 저서, 학회참가, 창작활동, 지식재산권, 자격사항, 수상사항 다. 대상기간: 2025. 4. 1. ~ 6. 30.(2025년도 2분기) 라. 조회 및 입력기간: 2025. 7. 31.(목)까지 마. 조회 및 입력방법 연번 구 분 대상 항목 확인사항 비 고 1 우리 대학 전임교원 참여 연구실적 논문, 저서, 학회참가, 지식재산권 입력 미대상 (연계실적 조회만 가능) 전임교원 연구실적과 자동연계 (창작활동 제외*) 2 우리 대학 전임교원 미참여 연구실적 및 기타 논문, 저서, 학회참가, 창작활동, 지식재산권, 자격사항, 수상사항 신규입력 단독 또는 외부협업 3 우리대학 전임교원 참여 연구실적임에도 자신의 연구 실적이 조회되지 않는 경우 : 미등록 실적검색 클릭 → 논문제목 등 입력 후 조회 → 자신의 연구실적 자료 더블 클릭 → 시스템 담당자에게 자동으로 접수 처리(신청자 리스트에서 확인가능) * 창작활동은 전임교원 연구실적과 연계되지 않으므로 신규입력하여야 함 바. 유의사항 - 우리 대학 전임교원이 참여한 실적임에도 조회가 되지 않는 경우는 교원의 연구실적이 미입력된 상태이므로 임의 입력 금지(교원 입력 시점에 자동 연계되어 조회 가능) - 수료생 및 졸업생은 해당 메뉴 사용이 불가하며, 재학 당시의 연구실적 확인이 필요한 경우 이메일(research@kangwon.ac.kr)로 자료 요청 바람 붙임 대학원생 연구실적관리 시스템 매뉴얼 1부. 끝.
[산업대학원]2025학년도 1학기 학위청구논문 및 기술보고서 심사계획 송부
단위업무명 추진일정 주관부서 학위청구논문 및 기술보고서 심사 신청 2025. 4. 21.(월)~4. 25.(금) 대학원생→학과사무실→행정실 학위청구논문 심사위원 위촉 2025. 4. 28.(월)~5. 2.(금) 행정실 학위청구논문 및 기술보고서 심사 실시 2025. 5. 7.(수)~6. 5.(목) 학과별 자체 계획 학위청구논문 및 기술보고서 심사결과 보고 2025. 6. 9.(월)~6. 12.(목) 심사위원장→학과사무실→행정실 - 논문 원문파일 온라인 제출 - 기술보고서 원문파일은 산업대학원에 제출 별도 안내 대학원생→도서관 홈페이지 (도서관 dCollection 업로드) (학위논문저작권 동의서 포함) - 논문 인쇄본 제출 - 기술보고서는 인쇄본 제출없음 별도 안내 대학원생→도서관(4부)
[산업대학원]2025학년도 1학기 학위수여자격시험 시행계획 안내
2025학년도 1학기 학위수여자격시험 시행 공고 1. 응시자격 ◯ 18학점 이상 취득한 자(휴학/수료생 포함) 2. 시험과목 ◯ 각 학과 교육과정의 전공과목 3과목 이상 응시하여 합격하여야 함 ◯ 시험과목은 소속 학과와 사전에 협의한 후 응시 3. 일정표 업무명 추진일정 주관부서 수험원 접수 2. 24.(월)~2. 28.(금) 학생 → 학과 시험 실시 3. 10.(월)~3. 28.(금) 각 학과 시험결과 확정 및 발표 4. 8.(화) (예정) 행정실 4. 수험원 접수 ◯ 기간: 2025. 2. 24.(월)~2. 28.(금) ◯ 장소: 소속 학과사무실 5. 시험 실시 ◯ 기간: 2025. 3. 10.(월)~3. 28.(금) ◯ 주관: 각 학과별로 진행 6. 시험결과 발표: 2025. 4. 8.(화) (예정) 2025. 2. 강원대학교 산업대학원장
[산업대학원]2024학년도 2학기 학위청구논문 및 기술보고서 심사계획 송부
단위업무명 추진일정 주관부서 학위청구논문 및 기술보고서 심사 신청 2024. 10. 28.(월)~10. 31.(목) 대학원생→학과사무실→행정실 학위청구논문 심사위원 위촉 2024. 11. 1.(금)~11. 4.(월) 행정실 학위청구논문 및 기술보고서 심사 실시 2024. 11. 4.(월)~11. 29.(금) 학과별 자체 계획 학위청구논문 및 기술보고서 심사결과 보고 2024. 12. 2.(월)~12. 6.(금) 심사위원장→학과사무실→행정실 - 논문 원문파일 온라인 제출 - 기술보고서 원문파일은 산업대학원에 제출 별도 안내 대학원생→도서관 홈페이지 (도서관 dCollection 업로드) (학위논문저작권 동의서 포함) - 논문 인쇄본 제출 - 기술보고서는 인쇄본 제출없음 별도 안내 대학원생→도서관(4부) * 자세한 내용은 첨부 파일을 참고바랍니다.
[산업대학원]2024학년도 2학기 학위수여자격시험 시행계획 안내
2024학년도 2학기 학위수여자격시험 시행 공고 1. 응시자격 ◯ 18학점 이상 취득한 자(휴학/수료생 포함) 2. 시험과목 ◯ 각 학과 교육과정의 전공과목 3과목 이상 응시하여 합격하여야 함 ◯ 시험과목은 소속 학과와 사전에 협의한 후 응시 3. 일정표 업무명 추진일정 주관부서 수험원 접수 8. 26.(월)~8. 30.(금) 학생 → 학과 시험 실시 9. 9.(월)~9. 27.(금) 각 학과 시험결과 확정 및 발표 10. 8.(화) (예정) 행정실 4. 수험원 접수 ◯ 기간: 2024. 8. 26.(월)~8. 30.(금) ◯ 장소: 소속 학과사무실 5. 시험 실시 ◯ 기간: 2024. 9. 9.(월)~9. 27.(금) ◯ 주관: 각 학과별로 진행 6. 시험결과 발표: 2024. 10. 8.(화) (예정) 2024. 8. 강원대학교 산업대학원장
강원대학교 소프트웨어중심대학사업단 전담인력(연구원)채용 공고
강원대학교 소프트웨어중심대학사업단에서는 유능한 인재를 채용하고자 다음과 같이 사업전담인력(연구원)채용을 공고하오니 많은 지원 바랍니다. 2025년 7월 18일 강원대학교 소프트웨어중심대학사업단장
CR홀딩스(조선내화) 추천 채용 안내
CR홀딩스(조선내화)에서 강원대학교 졸업생 및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추천채용을 진행합니다. 강원대학교 추천채용 지원자에게는 서류 전형 가점 혜택을 적용하오니 내화물 산업에 관심이 있는 미취업 졸업생 및 졸업 예정 학생의 많은 관심과 지원 바랍니다. 가. 채용내용 항 목 내 용 추천기업 CR홀딩스(조선내화) 모집분야 국내영업/기술솔루션/설비관리/재무회계/투자자산관리 채용조건 정규직 근무장소 전국 자격요건 강원대학교 졸업자 및 졸업 예정자(26년 2월) 채용전형 서류전형/인성검사 ▶ 1차 면접 ▶ 체험형 인턴 ▶ 2차 면접 ▶ 정규직 입사 ※ 취업지원과 추천채용 지원자는 서류 전형 가점 혜택 지원방법 1. 추천채용 담당자에게 유선으로 신청(033-250-7764) *추천채용 인재풀 등록 2. CR홀딩스(조선내화) 채용 홈페이지 지원(https://cr.career.greetinghr.com/intro) 지원마감일 2025. 7. 25. 금요일 17시까지 나. 문의: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석남일 컨설턴트(033-250-7764) 다. QR코드 붙임: CR홀딩스(조선내화) 채용공고문(pdf) 1부. 끝.
LG유플러스 유레카 SW 아카데미 교육생 모집(~7/28, 13시)_신입채용 서류면제혜택
LG유플러스 유레카 SW개발과정 운영사무국입니다. LG유플러스와 함께하는 무료 IT부트캠프 수강생 모집 마감이 임박하여, 교육과정 신청 안내 드립니다. 해당 교육과정의 경우, 수료생 전원에게 "신입사원 입사지원 시 서류면제/코딩테스트면제" 혜택을 부여해드리고 있습니다. 평소 LG유플러스 및 프론트엔드 개발자, 백엔드 개발자 취업을 고민하고 있는 대학 재(휴)학생 및 졸업자 분들에게 적극적인 참여 바랍니다. [LG유플러스 유레카 SW교육과정 3기 모집안내] 1. 교육분야 1) 프론트엔드 개발자 2) 백엔드 개발자 2. 교육일정: 2025.08.25(월) ~ 2026.03.24(화) 3. 수강혜택 1) 수료생 전원 입사 지원 시 서류전형 면제 2) 수료생 전원 입사 지원 시 코딩테스트 면제 3) LG유플러스 테크컨퍼런스 초대 4) LG유플러스 현직자와 함께하는 현직자 기술 멘토링 5) LG유플러스 현직자와 함께하는 멘토와의 네트워킹 4. 신청기간: 2025.06.30(월) ~ 2025.07.28(월) 13시까지 📢 신청바로가기: https://vo.la/MjSGifZ (접속이 안되실 경우, 검색창에 "LG유플러스 유레카"를 검색하여 신청부탁드립니다.)
'2025년 한국보건의료정보원 제3차 직원채용 공고(정규직 및 계약직)' 채용공고
서울에 위치한 공공기관인 한국보건의료정보원에서 2025년 제3차 직원(정규직 및 계약직. 인턴) 채용을 진행합니다. 많은 관심과 지원 바랍니다. 1. 채용기간: 2025.07.10(목) 14:00 ~ 2025.07.25(금) 18:00 2. 채용안내 : 채용공고 클릭!
2025학년도 2학기 푸른등대 기부장학금 신규장학생 선발 안내
한국장학재단에서는 2025학년도 2학기 푸른등대 기부장학금 신규장학생을 선발하오니, 많은 신청 바랍니다. 가. 장 학 명 : 2025학년도 2학기 푸른등대 기부장학금 나. 선발인원 : 총 1,155명(전국) 다. 서류마감 : 2025. 7. 31.(목), 18:00까지 라. 신청방법 :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www.kosaf.go.kr) 또는 모바일 앱에서 학생 직접 신청 마. 선발일정 : (심사) 2025. 9월. / (결과발표) 2025. 10월 말(예정) 바. 문 의 처 : 한국장학재단 상담센터(☎ 1599-2290) 붙 임 1. 2025학년도 2학기 푸른등대 기부장학금 사업계획 및 업무처리기준 1부. 2. 2025학년도 2학기 푸른등대 기부장학사업 요약표 1부. 끝.
2025-2학기 재학생 우선감면장학금 신청 안내
2025-2학기 교내 우선감면장학금 신청을 다음과 같이 안내합니다. 해당 학생은 공지내용을 참고하여 해당 기간 내에 K-Cloud에서 장학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1. 신청 대상자 (아래의 신청대상자만 신청 기간에 신청) 2025-2학기 '재학' 예정인 학생 중 아래 요건에 해당하는 자 - 국가유공자 및 그 자녀 - 미래글로벌인재장학생(2021학번까지) - 북한이탈주민(본인 또는 자녀 중 조건에 해당하는 자) - 입학 시 수석장학금(2021학번까지), 단과대학 수석장학금(2021학번까지), 차석장학금(2021학번까지)을 받고 입학한 장학생 ※ 2021년 이후 입학한 신입생은 해당사항 없음 - 자아실현장학생(장애인) - 학업장려(희망/백혈병 소아암) 장학생 - 동시재학장학생 - 글로벌비즈니스학과 재학생 - KNU미래글로벌인재 Ⅰ,Ⅱ 장학금을 받고 입학한 장학생(2023학번부터 해당) ★성적우수 장학생은 학과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성적순으로 선발/ 별도의 신청 없음 2. 신청 기간 : 2025. 7. 14.(월) 09:00~7. 25.(금) 23:59 ※ 해당기간에 신청을 못한 학생은 등록금 납부 후, 개강 후에 개별 신청(등록금 환불) ※ 추가신청 관련 문의(원활한 진행을 위해 전화로 먼저 문의 바랍니다.) - 전화: 033-250-6034 - 이메일: lyh0710@kangwon.ac.kr 3. 신청 방법 : k-cloud 접속하여 신청 * [붙임2] 장학 신청 매뉴얼 참고 ※ 장학 신청 경로 : k-cloud > 학부생서비스 > 교과 > 장학 > 장학신청 4. 그 밖의 자세한 내용은 [붙임1]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문의 사항 - 우선감면장학: 학생과(033-250-6034) - 성적장학금: 소속 학과 전화문의는 평일(9:00~17:00)중에 해주시기 바랍니다. 붙임 1. 2025-2학기 우선감면장학금 신청안내 2. 장학신청 매뉴얼(학생)
2025학년도 2학기 가송재단 신규장학생 추천 안내
가송재단에서 2025학년도 2학기 신규 장학생을 선발하니 많은 신청 바랍니다. 가. 추천인원 : 1명 나. 장학금액 : 500만원(생활비) 다. 접수기간 : 2025. 7. 23.(수)~24.(목) 17:00까지(우편접수 동일) 라. 지원자격 : 경제적 이유로 학업성적이 어려운 학생으로 학업성적이 평균 평점 80점 또는 B학점 이상인 학생인 자, 학자금 지원구간 3분위 이하(‘25.1학기기준) ※ 기존 가송재단 장학금 수혜자 지원자격 없음 마. 신청방법 : 학생과 사무실로 관련서류(붙임 참조) 제출 바. 추천방법 : 「강원대학교 교외장학금 장학생 선발기준」에 의거 1명 선발 추천 사. 선발방법 : 최종 재단측 서류심사 아. 제출서류 : 붙임 참조(본교 선발을 위해 학자금지원구간 통지서 반드시 제출) ※ 관련 공문을 반드시 숙지(장학증서 수여식,‘25.8.21.에 필착 등) 후 신청 붙임 관련 공문 및 제출서류 서식 1부. 끝.
2025학년도 세계한민족여성재단 신규장학생 선발 안내
1. 추천인원 : 2명(여학생만 해당) 2. 지원자격 가. 재학중인 여학생으로 학자금지원구간 3분위 이하(2025.1학기 기준)인 학생 나. 현재 학기 12학점 이상 이수하여 직전학기 C학점(백분위 70점)이상인 학생 다. 다자녀, 다문화, 탈북가정의 학생, 장애인 부모(부,모 중 한명이라도 가능)를 두었거나 학생 본인이 장애가 있는 자, 한부모가정 등은 우선고려자로 우선 선발 예정 3. 장학금액 : 100만원(생활비) 4. 선발방법 : 재단에서 최종 선발 5 신청기간 : 2025. 7. 17. ~ 7. 18. 17:00 6. 제출서류 - 신청서(자기 소개 및 장학금 활용계획을 1분 미만 동영상 제출 grace@kangwon.ac.kr) - 교외장학금 신청서, 개인정보수집 이용동의서, 서약서, - 재학증명서, 성적증명서, 학자금지원구간 통지서(2025-1학기 기준) - 우선고려자 관련 서류 일체(해당자만 제출) 7. 신청방법 : 학생과 사무실(나래관 2층) 방문 및 서류 제출 8. 행정사항 : 지원자가 많을 경우 「강원대학교 교외장학금 장학생 선발기준」에 의거 선발
1학기 기말 수업평가
6.27(금) ~ 7.3(목)
1학기 확정 전 성적 공개
1학기 성적 확정
7.7(월) ~ 7.7(월)
계절학기 수업평가
7.7(월) ~ 7.11(금)
2학기 복학 신청
7.11(금) ~ 8.29(금)
2학기 우선감면 장학금 신청
7.14(월) ~ 7.25(금)
계절학기 성적 입력
7.15(화) ~ 7.16(수)
계절학기 종강
7.15(화) ~ 7.15(화)
최종 학위논문 제출(대학원)
7.18(금) ~ 7.18(금)
계절학기 성적 확정
7.21(월) ~ 7.21(월)